본문 바로가기

이민정책론15

이민의 최근 경향 4. 이민의 최근 경향 - 양적인 확대(전 지구화)와 질적인 다양화 - 이민의 여성화 - 이민의 정치화 - 이민변천 및 탈 유형화 - 순환이민의 증가와 초국가주의의 확산 1) 양적인 확대(전 지구화)와 질적인 다양화 ➀ 양적인 확대 - 남북이민: 저개발국가에서 고도 산업국가로 향하는 이민 - 남남이민: 아프리카 내의 이민과 같이 저개발국가들 내에서의 이민 - 동서이민: 동유럽 국가들로부터 서유럽 국가들로의 이민 증가 ➁ 이민의 질적 다양화: 이민의 유형이 매우 다양 - 과거: 노동이민, 영주이민 - 최근: 난민이민, 입양이민, 학생(교육)이민, 결혼이민, 은퇴이민 등 2) 이민의 여성화 - 양적인 측면에서 이민자의 50% 이상이 여성, 질적인 측면에서 여성이 남편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 스스로.. 2022. 8. 3.
이민자의 유형과 이민의 단계 2. 이민(자)의 유형 1) 이민의 유형: 이민의 기준에 따라 다양 - 이민의 원인: 강제 이민(노예, 난민), 자발적 이민 - 강제 이민: 노예, 난민, 생태적 환경적 이유로 인한 이동 - 환경적 이민: 원시적 이민, 환경난민 발생, 환경(기후)난민 2) 이민자의 유형: 합법적 이민자, 미등록 이민자 - 합법적 이민자: 거주허가만 받은 경우, 거주허가와 취업허가를 모든 받은 경우, 국가에 따라 합법적인 이민자의 경우 - 미등록 이민자: 불법, 비정상, 불복종, 숨어 지내는, 무허가 이민자 등 매우 다양하게 불림 - 정해진 체류기간이 지났음에도 출국하지 않은 경우, 체류자격상 허용되지 않는 활동을 하는 경우, 이들은 비록 출입국관리법을 위반하였으나 범죄자는 아니므로 불법체류자라는 용어보다는 (미등록 이민.. 2022. 8. 3.
이민과 이민정책의 개념 Ⅰ. 이민이란 무엇인가? 1. 이민의 정의 - 국가의 인구수와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소: 출생, 사망, (인구이동) - 이민: 자기 나라를 떠나 다른 나라로 이주하는 일. 국가의 경계를 넘는 인구이동 (다른 나라로 → emigration / 다른 나라로부터 → immigration) - 이주: 본래 살던 집에서 다른 집으로 거처를 옮김. 개인이나 종족, 민족 따위의 집단이 본래 살던 지역을 떠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정착함. 거주지를 옮기는 현상, 경계를 넘는 이동, (외국으로의) emigration, (외국으로부터의) immigration - 영어에서는 이민을 나가는 이민과 들어오는 이민으로 구별 - 송출국과 수용국 중 어느 국가의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이출(emigration, out .. 2022. 8. 3.
반응형